정보처리기사 48

[정처기] 필기 합격 후기

1. 시험 응시 및 합격 어제 CBT 방식으로 시험을 보고, 결과를 바로 확인하였습니다. 78점 합격입니다. 오후 1시부터 2시 20분까지 80분 정도 사용했습니다. 시험 끝나고 다음 약속까지 시간이 많아서 최대한 시험장에서 오래 있으려고 했습니다. 최선을 다해서 풀고 찍었습니다. 시험 응시할 때는 150분을 다 사용하려고 했지만, 80분을 버티는 것도 힘들었습니다. 아는 문제와 모르는 문제가 너무 너무 명확했고, 시간을 더 투자한다고 달라질 것이 전혀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시험 종료를 누르기 전에 찍은 문항수를 세어보았습니다. 긴가 민가한 항목은 0.5개 완전 찍은 것은 1개로 해서 세어 보니 26개였습니다. 최소 74점이면 Ok! 시험종료! 결과적으로 78점이니 찍은 것 중에서는 4점 정도 맞..

정보처리기사 2023.02.14

[정처기] 필기 시험 보러갑니다.

드디어 오늘 오후에 필기 시험을 보러 갑니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인데 5과목이니 150분 즉 2시간 30분입니다. 1시에 시작하면 3시30분까지도 볼 수 있는 셈 입니다. 그렇지만, 실제 필요로 하는 시간은 기출 문제 풀어본 경험으로 보면 1시간 정도면 충분하리라 예상해 봅니다. 시험 끝나고 모임이 있습니다. 빨리 모이자고 했는데 4시 30분에야 뭉칠 것 같습니다. 시험 장소에서 약속장소가 50분 거리입니다. 시험을 2시에 끝내려고 했는데 다음 스케쥴을 고려하면 3시 30분에 끝내는 것이 최상입니다. 1시간 반을 시험장에서 보낼 것인가 길에서 보낼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1시간이면 충분할텐데 최대한 시험장에서 killing-time 해보겠습니다. 모르는 문제도 혼신의 힘을 다해 최대한 시간 투자..

정보처리기사 2023.02.13

[정처기] 기출문제 C (배열포인터)

1. 들어가며 오래 전에 비트교육센터에서 C 언어 한 달 코스 강의를 들었습니다. 다른 부분은 이해가 되었지만 포인터는 알송 달송했습니다. C++ 위주의 2개월 강의도 들었는데 포인터는 여전히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 뒤에 Java 위주의 6개월 과정에서 접한 포인터가 없는 Java 는 C나 C++ 에 배해 식은 죽 먹기처럼 쉬운 언어였습니다. 몇 년의 Java 개발자 실무 후에는 데이터 분야에서 쭈욱 일을 해왔습니다. 어쩌다 보니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하게 되었고, 그 어렵던 포인터 이해에 다시 도전해봅니다. 2. 문제 정보처리기사 필기 2022년 3월 5일 기출 62번 문제입니다. 3. 정답 8, 9 4 궁금한 것 문제에서 제시된 코드를 보면 머리가 아픕니다. 그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보처리기사 2023.02.12

[정처기] 필기 기출(2020년09월26일) 스터디

1. XP(eXtreme Programming)의 기본원리 3.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의 주요 기능 7. 코드화 대상 항목 - 표의 숫자 코드 9. DFD(data flow diagram) 12. 소프트웨어의 상위설계 13. 다음 중 자료사전(Data Dictionary) 15. 요구 사항 명세기법 16. 요구 분석 과정 22.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구축유형 중 Hybrid 23. 소스코드 품질분석 도구 중 정적분석 도구 27. 삽입 정렬 33. n 개의 노드로 구성된 무방향 그래프 35. 빌드 자동화 도구 36. 저작권 관리 구성 요소 38. 해싱함수 중 레코드 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40. 디지털..

정보처리기사 2023.02.11

[정처기] 필기 기출(2021년03월07일) 스터디

5. 응용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7.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중 Coad-Yourdon 방법 12.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 대한 설명 13. 기본 유스케이스 수행 시 특별한 조건을 만족할 때 14. 다음 중 요구사항 모델링에 활용 16. 럼바우(Rumbaugh) 분석기법에서 정보모델링이라고도 하며 17.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비즈니스(업무)를 객체 19. UML 다이어그램 중 시스템 내 클래스의 정적 구조를 표현 22. 다음 자료에 대하여 “Selection Sort”를 사용하여 23. 하향식 통합시험을 위해 24. 다음 전위식(prefix)을 후위식(postfix)으로 27.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에 사용되는 기술요소 32. 이진 검색 알고리즘에 대한 ..

정보처리기사 2023.02.10

[정처기] 필기 기출(2021년 2회) 스터디 #2

2021년 05월 15일 기출문제를 풀고 관련 개념을 찾아보며 공부한 로그입니다. 74. 페이징 기법에서 페이지 크기가 작아질수록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기억장소 이용 효율이 증가한다. -> 페이지가 크면 낭비공간이 많아 효율이 낮겠지. 2. 입·출력 시간이 늘어난다. --> 아리까리. 입력은 모르겠고 페이지가 너무 크면 출력 할 때 넓은 공간에서 찾아야 하니 오래 걸리지 않을까? 아니다. 페이지가 작으면 입력할 때 여러 군데 나누어서 저장해야 하니까 오래 걸리고, 여러 군데에서 찾아와야 하니까 느리겠지 3. 내부 단편화가 감소한다. --> 페이지가 크면 일부만 쓰니깐 단편화가 많이 생기겠지 4.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감소한다. --> 맵테이블이 뭐지? (설명란)페이지 크기가 작은 경우 ..

정보처리기사 2023.02.09

[정처기] 필기 기출(2021년 2회) 스터디 #1

2021년 05월 15일 기출문제를 풀고 관련 개념을 찾아보며 공부한 로그입니다. 캡슐화 vs 정보은닉 https://blog.naver.com/limhojin123/222990615408 https://blog.naver.com/ilgolc/222497055746 공부를 더 하기 전에 나의 현재 생각을 좀 적어두자 틀린 소리가 많을 수 있다. 나에게 형성된 암묵지를 최대한 끄집어 내서 형식지화 해본다. 그래야 고쳐야 할 부분도 확인할 수 있다. 두 개는 굉장히 유사하다. 비슷한 개념이다. 그래서 정처기에 문제 지문도 두가지를 명확히 구분이 될 만큼 그런데 문제 지문이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아서 두 개 다 답안으로 인정했을 것이다. 정보은닉은 감추는 것에 촛점을이 맞추어져 있고, 캡슐화는 복잡한것을 클래스..

정보처리기사 2023.02.08

[정처기] 실기 기출 공부 (2022년 2회)

10일쯤 후인 2월 13일에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접수해 둔 상태입니다. 우습게 생각했던 정보처리기사, 알고 보니 실기가 어려운 시험입니다. IT 경력이 20여 년 됩니다. Java 개발자로 시작해서 SQL 개발을 포함하여 다양한 IT실무를 해 왔습니다. OCP 8i / BOCP-BOE / ABAP associate consultant 자격증도 보유했었지요. 그 자격증들이 영구인지 아닌지 잘 몰라서 과거형으로 표현했습니다. 작년 한해는 ADsP, 빅데이터분석기사,ADP 를 합격했습니다. 올해 초에는 정보처리기사와 SQLP 둘 다 가장 빠른 시험부터 접수해서 동시에 도전하려고 했었습니다. 정보처리기사를 아주 만만하게 생각했던 것이지요. 그런데, 한달 전에 ALL 관련 SQL 포스팅을 올렸듯이, 홍달쌤 유튜브..

정보처리기사 2023.02.04

[정처기] 연습문제 - 파이선 문자 다루기

1. 문제 파이썬 연습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출처 : https://open.kakao.com/o/gHaNATre country = ['Korea','Canada','USA'] for i in country: for j in i: print(j*2, end='') 2. 정답 더보기 KKoorreeaaCCaannaaddaaUUSSAA 3. 풀이 "in 배열" 형식의 syntax 에서는 배열에 들어있는 값 들이 순서대로 튀어 나오는군요 첫번째 for 구문에서 'Korea','Canada','USA' 가 순서대로 튀어나와 i 에 들어갑니다. "in 문자열" 형식의 코드에서는 문자가 하나씩 순서대로 튀어나오네요. 두번째 for 구문에서는 K,o,r,e,a 이런식으로 튀어나옵니다. 문자 * 2 이런 형태의 연산이..

정보처리기사 2023.01.31

[정처기] 연습문제 - C언어 비트연산

1. 문제 C언어 연습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출처 : https://open.kakao.com/o/gHaNATre # include int main(int argc,char *arg[]){ int a=0xA5; int b=0x0F; printf("%x",a&b); return 0; } 2. 정답 더보기 정답은 5 입니다. A와 0 을 비트연산 & 하면 0이 되고, 5와 F 를 &하면 5가 되므로 0x05 즉 5가 답입니다. 3. 풀이 &&는 논리연산자이고 &는 비트 연산자입니다. 0x 어쩌구 하니 16진수인데 이것을 이진수로 변경하여 비트별로 일일이 비교해줘야 합니다. 머리를 쓰기 싫어서 무심코 디버깅 모드에서 확인해보려고 하였습니다. https://www.onlinegdb.com/online_c_com..

정보처리기사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