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58

[정처기] 실기 기출 공부 (2022년3회)_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2023년 1회 대비 기출분석 및 합격전략 https://youtu.be/YupDkx3SltM 2022년3회 기출을 보면서 23년 1회를 준비하는 영상이다 답안 참고 득점 1 관계대수 X 3 2 200 3 1 결과 튜플 수 1 3 Bridge Observer 디자인패턴 5 4 192.168.1.127 서브네팅 0 5 42153 Java 6 경계값분석 동등값 분할 https://youtu.be/YupDkx3SltM?list=LL&t=497 0 7 형상관리도구 CVS GitSVN 5 8 3,4 FK 삭제 부서수 직원수 5 9 SIEM 보안솔루션 0 10 [101, 102, 103, 104, 105] Python lambda map 0 11 2 C 프로그래밍 약수 계산 문제 5 12 SJF ..

정보처리기사 2023.02.18

[정처기] 필기 합격 후기

1. 시험 응시 및 합격 어제 CBT 방식으로 시험을 보고, 결과를 바로 확인하였습니다. 78점 합격입니다. 오후 1시부터 2시 20분까지 80분 정도 사용했습니다. 시험 끝나고 다음 약속까지 시간이 많아서 최대한 시험장에서 오래 있으려고 했습니다. 최선을 다해서 풀고 찍었습니다. 시험 응시할 때는 150분을 다 사용하려고 했지만, 80분을 버티는 것도 힘들었습니다. 아는 문제와 모르는 문제가 너무 너무 명확했고, 시간을 더 투자한다고 달라질 것이 전혀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시험 종료를 누르기 전에 찍은 문항수를 세어보았습니다. 긴가 민가한 항목은 0.5개 완전 찍은 것은 1개로 해서 세어 보니 26개였습니다. 최소 74점이면 Ok! 시험종료! 결과적으로 78점이니 찍은 것 중에서는 4점 정도 맞..

정보처리기사 2023.02.14

데이터개발(저반향병변) 이야기 (4)

지난 포스트에서 저반향병변의 개념과 구현되어 있던 소스 일부를 소개했습니다. 레지스트리 개념 저반향 병변 (hypoechoic lesion) 개념 소스(SQL) 분석 직전 포스팅에 소스코드 일부를 살펴보았지만, 전체 소스 코드는 너무 복잡하고 길어서 하나하나 순서대로 보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싱 결과 데이터에서 역추적하면서 관련 로직을 분석하는 예시를 공유해 보겠습니다. 1. anechoic 이라는 표현이 포함된 검사지는 Positive? anechoic 이라는 표현이 들어간 판독지들을 조회(select)해보았습니다. 결과 건수는 몇십 건 정도입니다. 그런데 hypoechoic lesion 이 Positive가 아닌 다른 값(Negative, 확인필요)으로 분류된 것들이 다수 있습니..

프리랜서/CDW 2023.02.14

[정처기] 필기 시험 보러갑니다.

드디어 오늘 오후에 필기 시험을 보러 갑니다.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인데 5과목이니 150분 즉 2시간 30분입니다. 1시에 시작하면 3시30분까지도 볼 수 있는 셈 입니다. 그렇지만, 실제 필요로 하는 시간은 기출 문제 풀어본 경험으로 보면 1시간 정도면 충분하리라 예상해 봅니다. 시험 끝나고 모임이 있습니다. 빨리 모이자고 했는데 4시 30분에야 뭉칠 것 같습니다. 시험 장소에서 약속장소가 50분 거리입니다. 시험을 2시에 끝내려고 했는데 다음 스케쥴을 고려하면 3시 30분에 끝내는 것이 최상입니다. 1시간 반을 시험장에서 보낼 것인가 길에서 보낼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1시간이면 충분할텐데 최대한 시험장에서 killing-time 해보겠습니다. 모르는 문제도 혼신의 힘을 다해 최대한 시간 투자..

정보처리기사 2023.02.13

[정처기] 기출문제 C (배열포인터)

1. 들어가며 오래 전에 비트교육센터에서 C 언어 한 달 코스 강의를 들었습니다. 다른 부분은 이해가 되었지만 포인터는 알송 달송했습니다. C++ 위주의 2개월 강의도 들었는데 포인터는 여전히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 뒤에 Java 위주의 6개월 과정에서 접한 포인터가 없는 Java 는 C나 C++ 에 배해 식은 죽 먹기처럼 쉬운 언어였습니다. 몇 년의 Java 개발자 실무 후에는 데이터 분야에서 쭈욱 일을 해왔습니다. 어쩌다 보니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하게 되었고, 그 어렵던 포인터 이해에 다시 도전해봅니다. 2. 문제 정보처리기사 필기 2022년 3월 5일 기출 62번 문제입니다. 3. 정답 8, 9 4 궁금한 것 문제에서 제시된 코드를 보면 머리가 아픕니다. 그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보처리기사 2023.02.12

[정처기] 필기 기출(2020년09월26일) 스터디

1. XP(eXtreme Programming)의 기본원리 3.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의 주요 기능 7. 코드화 대상 항목 - 표의 숫자 코드 9. DFD(data flow diagram) 12. 소프트웨어의 상위설계 13. 다음 중 자료사전(Data Dictionary) 15. 요구 사항 명세기법 16. 요구 분석 과정 22.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구축유형 중 Hybrid 23. 소스코드 품질분석 도구 중 정적분석 도구 27. 삽입 정렬 33. n 개의 노드로 구성된 무방향 그래프 35. 빌드 자동화 도구 36. 저작권 관리 구성 요소 38. 해싱함수 중 레코드 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40. 디지털..

정보처리기사 2023.02.11

[정처기] 필기 기출(2021년03월07일) 스터디

5. 응용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7.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중 Coad-Yourdon 방법 12.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 대한 설명 13. 기본 유스케이스 수행 시 특별한 조건을 만족할 때 14. 다음 중 요구사항 모델링에 활용 16. 럼바우(Rumbaugh) 분석기법에서 정보모델링이라고도 하며 17.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비즈니스(업무)를 객체 19. UML 다이어그램 중 시스템 내 클래스의 정적 구조를 표현 22. 다음 자료에 대하여 “Selection Sort”를 사용하여 23. 하향식 통합시험을 위해 24. 다음 전위식(prefix)을 후위식(postfix)으로 27.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에 사용되는 기술요소 32. 이진 검색 알고리즘에 대한 ..

정보처리기사 2023.02.10

AI 미래 (알파고와 ChatGPT)

1. Chat GPT를 보고 터미네이터를 염려하다 요새 Chat GPT가 핫합니다. 누군가가 멀지 않은 미래에 영화 터미네이터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 아닌지 걱정합니다. 그 소리에 저도 모르게 픽하고 코웃음이 나왔습니다. 아무리 프로그램 성능이 발전해서 뛰어나게 된다고 해서 사람같은 자의식이 생기겠습니까 그러나 다시 생각하니 그냥 웃어 넘기기만 할 일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삽십년 전 인공지능 바둑 1990년 아니면 91년 말쯤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튼 30년쯤 전입니다. 지방에 살던 저는 친구와 함께 서울에 있는 친구 누나집에서 하루 묵게 되었습니다. 자기 전에 컴퓨터하고 바둑을 두었습니다. 제가 기원 7급 수준이었는데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력이 꽤나 인상적이었습니다. 어떻게 프로그..

카테고리 없음 2023.02.09

[정처기] 필기 기출(2021년 2회) 스터디 #2

2021년 05월 15일 기출문제를 풀고 관련 개념을 찾아보며 공부한 로그입니다. 74. 페이징 기법에서 페이지 크기가 작아질수록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기억장소 이용 효율이 증가한다. -> 페이지가 크면 낭비공간이 많아 효율이 낮겠지. 2. 입·출력 시간이 늘어난다. --> 아리까리. 입력은 모르겠고 페이지가 너무 크면 출력 할 때 넓은 공간에서 찾아야 하니 오래 걸리지 않을까? 아니다. 페이지가 작으면 입력할 때 여러 군데 나누어서 저장해야 하니까 오래 걸리고, 여러 군데에서 찾아와야 하니까 느리겠지 3. 내부 단편화가 감소한다. --> 페이지가 크면 일부만 쓰니깐 단편화가 많이 생기겠지 4.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감소한다. --> 맵테이블이 뭐지? (설명란)페이지 크기가 작은 경우 ..

정보처리기사 2023.02.09

[정처기] 필기 기출(2021년 2회) 스터디 #1

2021년 05월 15일 기출문제를 풀고 관련 개념을 찾아보며 공부한 로그입니다. 캡슐화 vs 정보은닉 https://blog.naver.com/limhojin123/222990615408 https://blog.naver.com/ilgolc/222497055746 공부를 더 하기 전에 나의 현재 생각을 좀 적어두자 틀린 소리가 많을 수 있다. 나에게 형성된 암묵지를 최대한 끄집어 내서 형식지화 해본다. 그래야 고쳐야 할 부분도 확인할 수 있다. 두 개는 굉장히 유사하다. 비슷한 개념이다. 그래서 정처기에 문제 지문도 두가지를 명확히 구분이 될 만큼 그런데 문제 지문이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아서 두 개 다 답안으로 인정했을 것이다. 정보은닉은 감추는 것에 촛점을이 맞추어져 있고, 캡슐화는 복잡한것을 클래스..

정보처리기사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