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42

[정처기] 실기 기출 2021년 1회 IPv6

4월 22일쯤에 있을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IPv6의 길이는 필기시험 공부할 때부터 실기 공부하면서 계속 잘 안 외워집니다. 21년 1회는 한 달 간격으로 두 번 풀어보았는데 두번다 틀렸습니다. 일단 문제를 보겠습니다. ②번 문제 IPv4는 쉽습니다. 정답은 ① 오른쪽을 드래그하면 보입니다. 1. 문제 08. 다음 ①,② 에 알맞은 답안을 작성하시오 IPv6는 ( ① )비트의 길이를 가진다 IPv4는 길이가 32비트이며, ( ② )비트씩 4 분할한다. 정답 ① 128 ② 8 2. 작성 답안(정답 아님) ① 256 3. 오답 풀이 과정 256이라고 작성한 이유입니다. IPv6는 FE28:9C... 이런식임, 즉 16진수로 표시됨. 16진수 * 4글자 = 64 인데 이런 것이 4묶음이면 2..

정보처리기사 2023.03.15

[정처기] 실기 기출 2021년 1회

4월 22일쯤에 있을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홍달쌤 유튜브 영상으로 2021년 1회 기출을 풀어보았습니다. 한달 전에 풀어본 내용을 다시 한번 풀어본 것입니다. 정답은 정답 오른쪽과 아래를 드래그하면 보입니다. 01. 물리주소(MAC Address)를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을 작성하시오 정답 RARP 02. 빈칸 ①~③에 해당하는 용어를 쓰시오 (①) : 현실 세계에 있는 그대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복구조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하기 대문에 정보 모델이라고 한다. (②) : 추출된 엔티티와 속성들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의하는 단계로 1에서 만들어진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과정 (③) : 실제 저장장치에 어떻게 저장할지 설계하는 단계 정답 ① ..

정보처리기사 2023.03.14

[정처기] 실기 기출 2022년 3회 서브넷팅

3월 6일 포스팅에서 "2022년 3회 기출 풀이"를 도전하였는데 서브네팅은 머리 아파서 패쓰했었습니다. 집중해서 도전하면 풀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쉽지 않았습니다. [정처기] 실기 공부 방법 및 준비 상황 점검 3월 12일 홍달쌤 영상을 통해 서브네팅을 완벽히 이해하고 정리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정처기] 서브넷팅 [정처기] 서브넷팅(2) 그래서 자신감 뿜뿜 가벼운 마음으로 22년도 3회 기출 서브네팅 문제에 도전해 보았습니다. 1. 문제 192.168.1.0/26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하여 6개의 subnet 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을 대, subnetting된 네트워크중 2번째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IP 주소를 10진수로 쓰시오 2. 작성 답안(정답 아님) 192.1..

정보처리기사 2023.03.13

[정처기] 서브넷팅(2)

홍달쌤 서브넷 특강이 하나 더 있었습니다. 오늘은 홍달쌤 유튜브 영상 [정보처리 필기 특강] 서브넷 | 서브네팅(2) 로 서브넷팅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 문제 요약. 답은 정답 우측을 드래그하면 보입니다. 문제 1 https://youtu.be/M_Wr2ih0sMI?list=LL&t=3 10.0.0.0 네트워크 전체에서 마스크 값으로 255.240.0.0을 사용할 경우 유효한 서브네트 ID는? ① 10.16.0.0 ② 10.0.0.32 ③ 10.1.16.3 ④ 10.29.240.0 정답 ① 풀이 240 = 128+64+32+16 즉 4개 비트가 서브넷임 1111-0000 10.?.0.0 ? 에는 16,32,48... 가능 문제 2 https://youtu.be/M_Wr2ih0sMI?list=LL&t=..

정보처리기사 2023.03.13

[정처기] 서브넷팅

4월 22일쯤에 있을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실기는 프로그래밍 문제 준비가 핵심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이외에도 실습을 통해 이해를 하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은 바로 정렬/ 트리 순회/ 프로세스 스케쥴링/ 서브네팅/ UML작성 등입니다. 오늘은 홍달쌤 유튜브 영상 [정보처리 필기 특강] 서브넷 | 서브네팅 으로 서브넷팅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거 하나면 서브네팅은 총정리되는 느낌입니다. ** 문제 요약. 답은 드래그하면 보입니다. 문제 1 https://youtu.be/lfB_xjlhrUo?list=LL&t=188 192.168.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으로 4개의 Subnet 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 를 적용했다. 이 때 Subnettin..

정보처리기사 2023.03.12

ICMP 관련 공격 ( PoD vs Smurfing )

오카방에서 누군가의 질문이닷! 질문 지문에 ICMP 패킷 공격이면 보기에서 ping 찍고 넘어갔는데 smurfing도 ICMP 패킷 공격이네요 헷갈려서 검색해보니까 이해가 잘 안되는데 혹시 시험에 ICMP 패킷 공격이고 선지에 ping이랑 smurfing 둘 다 있으면 어떻게 푸실 건가요!? 참고자료 답안 ICMP 패킷을 집중적으로 보낸다거나, flooding 하거나,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면 Smurfing. 패킷 크기나 ping 언급하면 Ping of Death가 될거 같습니다 Answer by Chat GPT Ping of Death와 Smurfing은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사이버 공격입니다. 그러나 둘 다 ICMP 패킷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Ping of Death는 대상 컴퓨터나 서버로..

정보처리기사 2023.03.12

[정처기] 개속관

4월 22일에 있을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기다리면서 수제비 두음쌤을 반복해서 듣고 있습니다. 개속관 개체 속성 관계의 두음인 줄은 알겠는데 질문이 무엇인지 헷갈립니다. 질문은? 일단, 논리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라고 정리하겠습니다. 왜 헷갈렸을까? 두음쌤 영상을 과목 별로 여러 개 보았데 개속관은 3가지 영상에서 등장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3가지 영상에서의 표현이 논리 데이터 모델링 속성, 논리 데이터 저장소 구조, 개체-관계 모델 구성요소라고 제각각입니다. 3가지 영상은 하단 표의 3~5번 링크입니다. 3가지 영상을 여러 번 들었지만 두음에 대한 타이틀은 무심코 흘려들어서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관련 자료 수집 및 정리 차이가 있다는 것을 언제 알았을까요? 아래 자료 중 6번 링크를..

정보처리기사 2023.03.08

[정처기] 두음 모음

두음으로 외우다 보면 두음만 기억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래 단어가 기억이 안나는 경우도 있고, 무엇에 대한 두음인지가 생각이 안나기도 합니다. 또한 특정한 용어가 들어간 두음이 여러 개일 때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예컨대, 추상화라는 단어는 자주 나옵니다. 어디에서 보았는지 궁금할 때 바로 답을 찾기 위해 두음 모음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글에서 추상화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정분추모, 가단의 중추, 캡상다추정관에서 추상화라는 용어를 들어보았네요. 버일타토 아플프 타플해 소데옵페 플랫폼의 유형 싱투멀 : 싱글 사이드 / 투 사이드 / 멀티 사이드 플랫폼 ​ 플랫폼 성능 특성 측정 항목 경사응가 : 경과시간 / 사용률 / 응답시간 / 가용성 ​ DBMS 현행 시스템 ..

정보처리기사 2023.03.06

[정처기] 실기 공부 방법 및 준비 상황 점검

2023년 1회 필기시험 첫날인 2월 13일 월요일에 응시했고 컴터 화면으로 합격을 확인했습니다. 4월22일 실기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틈나는 대로 공부 중입니다. 1. 출제방향 확인 및 합격 가능성 진단 - 기출 문제(20년 3회부터 22년 3회까지)내용으로 구성된 기사퍼스트 홍달샘 유튜브 무료 영상을 시청 2. 프로그램 공부 - C,Java,파이선 프로그램 실습(기출 및 유사 내용) - 실습환경 : https://www.onlinegdb.com/online_c_compiler# 3. 단답식 준비 - 수제비 두음쌤 유튜브 영상 반복 듣기를 통해 이해가 필요한 부분 점검도 하고 암기도 다지고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 두음쌤 Part.1(1~6과목)" 영상 부터 듣..

정보처리기사 2023.03.06

비대칭 암호화 암고리즘 RSA

126회 기술사 문제 4교시 5번 문제로 RSA가 출제되었다. https://blog.naver.com/stereok2/222662441478 126회 정보관리 기술사 시험문제 분석 및 총평2022년 1월 29일(토)에 시행된 126회 정보관리기술사 시험문제 분석입니다. ※먼저, 문제를 살펴보도록 하...blog.naver.com 5. RSA(Rivest-Shamir-Adleman)알고리즘과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정보처리기사 수준에서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는 대비해(대칭 비대칭 해시) 3가지이며, 비대칭 암호화 암고리즘에는 RSA DSA ECC 가 있다는 정도만 알아도 될 것 같다. 자격증 시험과는 별개로 지적호기심이 발동한다. 소인수 분해의..

정보처리기사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