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리눅스 지연바인딩에 관한 설명이다. 리눅스 환경에서 (1)방식으로 컴파일하면 라이브러리가 외부에 위치하여 주소를 가져오기 위해서 테이블인 (2)와 프로시저의 실제주소를 가지고 있는 (3)을 참조하여 함수 주소를 얻어온다. 제출 답안 Dynamic Linking, Lookup table, 공백 후기 찍음. dynamic vs static, binding or linking. 이런 용어들로 어떻게 잘 찍어볼까 연구를 좀 해봄. 오래전 프로그래밍 공부할 때 내부에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도록 할지 아니면 런타임에 참조하는 방식으로 할지 선택힐 수 있었던 것 같다. 그것이 C 였는지 Java 였는지 아니면 다른 언어였는지는 기억에 없다. 그런 코딩 방식과 관련된 개념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았으나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