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IT 자격증 난이도 비교(ADsP 빅분기 ADP 정처기)

멋쟁이천재사자 2023. 3. 8. 20:43

ADsP, 빅분기, ADP, 정처기 중 어느 것이 더 어려운지라는 질문을 자주 접합니다.
 
도전하시는 분의 전공이나 경력 등에 따라 답은 달라질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답이 없는 질문일 수도 있지만 꾸준히 질문이 올라옵니다. 질문하시는 분들도 정답을 원해서가 아니라, 난이도에 대해 조금이라도 감을 잡아보려는 차원으로 하는 질문이겠지요.
 
제 경험을 토대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ADsP vs 빅분기(필기만)

 
ADsP와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의 난이도 비교 질문이 제일 많은 것 같습니다. 
 
저는 빅분기 필기가 훨씬 어려웠지만, 빅분기가 오히려 쉽다라는 의견도 가끔 보입니다.

 ADsP빅분기 필기
저의 득점 (응시 연월)92 점 (2022년 2월)81.25 점 ( 2022년 4월)
공부 기간1.1 ~ 2.25 약 3개월ADsP 공부기간 + 직후 1개월 추가
쉬운 요소문제은행식이라 기출만 열심히 봐도 됨주관식이 없다.
어려운 요소단답형 주관식이 있다.
IT 노베이스에게 1과목이 생소하다.

기출 문제가 많이 없다.
통계 노베이스에게 범위가 막막하다.
참고전산전공 - 1과목 유리
통계전공 - 3과목 유리
통계학 전공자 유리

 
저는 경영학 전공 후에 IT 경력이 깁니다. 빅분기 필기는 ADsP 직후 1개월을 추가로 공부하고 본 시험이지만 10 점 이상 낮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점수의 차이보다 체감상 난이도는 훨씬 컸습니다.
 
공부하는 기간 내내 ADsP 는 기출문제 반복이라는 편한 길이었지만, 빅분기는 무엇이 나올지 몰라 전전긍긍했습니다. 시험 보는 시간도 기출에서 꽤나 많은 문제가 나온 ADsP 는 편안한 시간이었지만, 빅분기는 모든 문제를 처음 보는 문제라 문제를 읽고 가능성 높은 선지를 고르느라 에너지 소모가 엄청났습니다. ADsP 는 시험 보는 중간에 이미 합격이 뻔하게 보여서 느긋하게 검토를 한 두번 했던 것인데 반해, 빅분기는 2~3개 선지 중에서 하나를 찍는 문제가 무쟈게 많았고, 아예 모르는 것들도 많아서 결과를 종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2. 빅분기 필기 vs ADP 필기

 
저에게 두 시험은 비슷했습니다. 무엇이 더 어렵다고 할 수가 없습니다. 통계 전공자라면 빅분기 필기가 쉽다고 이야기할 것이라고 봅니다.
 
ADP는 커트라인이 70점이라는 점이 큰 허들이 될 수 있고, 서술형이 어떻게 나올지 몰라 두려운 대상입니다. 최근 기출에서 엔트로피 계산 문제가 나왔다고 하여 기출 복원 내용을 찾아보았는데, 엔트로피 수식을 알고 있는 상태인데도 틀렸을 것 같습니다. 

제가 응시한 25회차는 5과목 시각화가 이상한 문제가 많이 나와 이슈였습니다.
결과적으로 10점 만점에서 6점을 획득하여 과락은 아니었는데, 10문제 중 2문제만 확신을 갖고 풀었고 나머지 8문제는 도무지 헷갈리는 문제들이었습니다.
 

 빅분기 필기ADP 필기
저의 득점 (응시 연월)81.25 ( 2022년 4월)79 ( 2022년 5월)
공부 기간ADsP 공부 3개월 + 직후 1개월 추가빅분기필기 공부기간 + 직후 1개월 추가
쉬운 요소합격 기준 60ADsP 와 동일한 문제들도 출제됨
어려운 요소기출 문제가 많이 없다.
통계 노베이스에게 범위가 막막하다.

합격 기준 70
서술형이 있음
<추가 과목 있음>
2과목 데이터 처리기술 이해
5과목 데이터 시각화 
참고통계학과 유리 

 
 

3. ADsP vs ADP 필기


두 시험 난이도에 대한 많은 분들의 답은 비슷하다인 것 같습니다. 저도 동의합니다. ADP는 실기가 어렵지 필기는 ADsP 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위 1번 2번 비교 결과를 요약하면 ADsP < 빅분기(필기) = ADP필기 이며 그렇다면 ADsP < ADP필기 아니냐고 따지시겠지요. 맞습니다. ADP 필기가 커트라인도 70이고 서술형도 있으니 ADsP 보다 당연히 더 어렵습니다.
 
그러나 ADP실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필기 시험끼리의 비교는 비슷하다고 말할 정도로 차이가 작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ADP 필기를 최종 목표로 하신다면 ADP 필기가 훨씬 어렵다라고 말씀드리겠지만, 실기 도전을 전제하고 필기에 응시하는 것이잖아요. 그렇다면 ADP 필기는 ADsP 하고 비슷한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4. 정처기 vs 빅분기

정보처리기사와 빅분기를 비교하는 질문도 종종 봅니다.

어려운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정처기 실기 - 빅분기 필기 - 빅분기실기 - 정처기필기  순이라고 생각합니다.
 
빅분기 필기가 쉬운 것이 아니지만 정처기 실기가 좀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전산 전공자 기준으로 조금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통계 전공자에게는 그 차이가 훨씬 더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빅분기필기빅분기실기정처기필기정처기실기
저의 득점 (응시 연월)81.25 ( 2022년 4월)100 ( 2022년 6월)78 ( 2023년 2월)70 (2023년 4월 예상)
난이도60301090
쉬운 요소  CBT 기출만 열심히 보면 가능. 제일 쉬움 

* 난이도는 필요한 공부 일수를 대략적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시험간 상대적인 크기를 표현하려는 용도입니다.
 
 
정처기필기 - CBT 기출만 열심히 보면 가능하므로 제일 쉽습니다. 결과 점수가 제일 높은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시험 시작 1시간도 안돼 다 풀었고, 최소 74점 확보된 것을 확신하고 마음 편히 시험을 종료했으니 제일 쉽게 합격한 것입니다. 
 
빅분기 실기 -  R 이나 파이선 초보자도 random forest 샘플 코드 10 줄 정도만 외워가면 될 정도로 쉽습니다. (약간 쉬운 쪽으로 과장된 표현입니다)
 
빅분기 필기 - 문제은행이 아니므로 통계학에 대한 이해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통계 허들에서 좌절합니다. 그러나 핵심적인 개념들만 이해를 한다면 합격 가능합니다.

정처기 실기 - 20년 개편 이후의 기출 복원 자료들을 살펴보았습니다. Java 실무를 몇 년 했던 경력자입니다만, 코딩 문제를 맞춘다고 장담할 수가 없습니다. 용어 문제도 너무 넓은 범위에서 출제가 되어 60점 커트라인 부근에서 점수가 형성될 것 같습니다.